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6·3 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들의 핵심 공약이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5월 12일 공개한 ‘10대 공약’**은
경제, 산업, 노동, 외교, 사법,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
정책 테마주를 미리 체크해두려는 분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공약에는
- AI 산업 집중 육성,
- RE100 산업단지 조성,
- 주 4.5일제 도입,
- 검찰 개혁,
- 세종 행정수도 완성 등
직접적으로 관련 산업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어
정책 수혜 관련주 분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재명 10대 공약과 관련주 테마를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이재명 후보 10대 공약별 관련 테마주 정리
1. AI 산업 집중 육성 → AI 관련주
- 핵심 공약:
“AI 예산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확대, 세계 3강 진입 목표” - 관련주:
- 한컴위드 / 솔트룩스 / 셀바스AI: 음성인식·자연어처리
- 알체라 / 브레인즈컴퍼니: 영상 AI·보안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AI 반도체 IP
💡 AI는 이미 여러 후보 공통 공약에 포함된 가장 강력한 테마입니다.
2. 상법 개정·기업지배구조 개선 → 지배구조 관련주
- 핵심 공약:
"주주충실 의무 도입, 일반 주주 권익 강화" - 관련주:
- 대신정보통신 / 삼일회계법인 연계 기업: 전자공시 시스템
- 한국기업평가 / 나이스디앤비: ESG·기업평가 시장 확대
3. 검찰·사법개혁 → 디지털 수사·보안 관련주
- 핵심 공약:
"수사·기소 분리, 검사 파면제, 대법관 정원 확대" - 관련주:
- 이루온 / 아이크래프트: 수사 기록 디지털화
- 지니언스 / 윈스 / 라온시큐어: 보안·사이버 수사 인프라
4. 국민참여형 의료개혁 → 공공의료·헬스 IT 관련주
- 핵심 공약:
"지역의사·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국민 공론화" - 관련주:
- 씨젠 / 휴마시스: 진단키트·검사 자동화
- 유비케어 / 인피니트헬스케어: 병원 EMR·의료 IT 시스템
5. 주 4.5일제 & 노동법 개정 → 스마트워크 관련주
- 핵심 공약: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 주 4.5일제 시범 도입" - 관련주:
- 알서포트 / 링네트 / 케이아이엔엑스: 원격근무 시스템
- 더존비즈온 / 나무기술: SaaS,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워크
6. 탄소중립 & RE100 산업단지 → 친환경에너지 관련주
- 핵심 공약:
"2040년까지 석탄화력 폐쇄, 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조성" - 관련주:
- 씨에스윈드 / 유니슨: 풍력 발전
- 한화솔루션 / OCI: 태양광 모듈
- 에코프로 / 포스코퓨처엠: 2차전지·탄소중립 소재
7. 세종 행정수도 완성 → 세종시 부동산·건설 관련주
- 핵심 공약:
“세종에 헌법기관 및 청와대 기능 이전 마무리” - 관련주:
- 계룡건설 / 태영건설 / KCC건설: 세종 개발 수혜
- 세종텔레콤 / 이지케어텍: 인프라·ICT 연계 기업
8. 전시작전권 환수 & 국방 독립 → 방산주
- 핵심 공약:
"한미동맹 기반, 작전권 환수 및 군사 긴장 완화" - 관련주:
- 빅텍 / 퍼스텍 / 스페코: 전자전·통신장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LIG넥스원: 전투기·미사일
9. 지역사랑상품권 의무 발행 → 핀테크·소상공인 플랫폼주
- 관련주:
- 한국정보통신 / 한국전자금융 / KIS정보통신
- NHN한국사이버결제 / KG이니시스 (QR결제 시스템)
10. 외교 실용주의 및 4강외교 → 지정학 관련주 (간접 영향)
- 중국·미국·일본 관련 반도체·항공·조선업 등 간접 수혜 예상
- 실용·국익 중심 외교 → 무역 정책에 따른 산업별 주가 영향 가능성
✅ 마무리 요약
공약 분야 | 주요 키워드 | 대표 테마주 |
AI·경제 | 인공지능 3강 | 셀바스AI, 솔트룩스, 오픈엣지 |
노동 | 주 4.5일제 | 알서포트, 더존비즈온 |
의료 | 공공의료 확충 | 씨젠, 유비케어 |
에너지 | RE100, 탄소중립 | 한화솔루션, 에코프로 |
국방 | 작전권 환수 | 빅텍, LIG넥스원 |
사법개혁 | 수사 디지털화 | 아이크래프트, 지니언스 |
📌 정책은 곧 산업 방향성입니다.
테마주는 순환하되, 공약은 방향을 제시합니다.
투자는 타이밍보다 "이슈의 크기와 지속성"을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